본문 바로가기
º 생활정보

경계성 지능장애 특징과 증상 원인 놀라운 사실

by 건헬케 2021. 6. 19.

경계성 지능장애라는 말을 들어봤나요? 경계성 지능장애의 특징과 증상 그리고 원인에 대해서 알려드리겠습니다. 현재 조사된 바로는 아동청소년의 경우 12~14%가 경계성 지능장애에 해당된다고 합니다. 하지만 이를 모르고 지나치면서 아이에서 청소년에 이어서 성인이 될 때까지도 모르고 살아가는 경우가 많다고 합니다. 

 

 

 

경계성 지능장애란 무엇인가요

 

의학적 전문용어로는 경계성지능이라는 용어로 사용되며, 경계성 지능장애를 알아보는 방법으로는 대표적으로 IQ 검사가 있습니다. IQ 테스트 검사에서 70~85점의 점수가 경계성 지능장애에 해당되는 점수입니다. 이 정도 수치는 대한민국의 13.5%의 인구가 이에 해당된다고 합니다. 정말 높은 수치라 놀랐습니다.

 

정신장애 진단에서 85까지가 정상범주에 해당되며, 71~84까지는 경계선 지능에 해당되고, 70 이하로는 지적장애로 분류된다고 합니다. 하지만 IQ 테스트는 그냥 테스트일 뿐, 지적장애보다는 지적인 능력을 테스트하는 것이기에, 일상생활에서 크게 사회성이 결여되는 행동을 보이지 않는 이상은 스스로 살아가는데 전혀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아이들은 IQ 테스트로 인한 판단 보다는 사회적 특성과 인지적 특성, 정서적 특성 등 많은 부분을 참고하고 판단하여 결정을 하게 됩니다. 그럼 세 가지 특성에 대해서 어떻게 판단하고 결정하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사회적 특성

 

언어 표현력 부족 현상 - 언어 이해력보다 언어표현력이 상대적으로 낮은 경향을 보이면서, 사진의 생각을 말로 표현하는데 어려움을 느끼게 됩니다.

 

어휘력 부족 현상 - 또래의 나이에서 기억력이과 주의력이 부족하여 어휘 학습이 부진한 경우가 있습니다.

 

사회적 기술 부족 현상 - 또래 친구들과의 의사소통에 어려움을 겪거나, 사회적 기술을 능숙하게  사용하지 못하지만, 또래와 어울리려는 집착이 크게 나타나게 됩니다.

 

상황 파악 능력 저하 현상 - 또래의 나이에서 사회적 눈치가 부족하여 상황 파악 능력이 부족한 특징이 있습니다.

 

 

인지적 특성

 

부족한 기억력 현상 - 또래의 친구들 보다 기억하는 양과 정보, 오래 기억하는 능력이 떨어집니다.

 

낮은 집중력 현상 - 흥미를 느끼는 것에 대한 집중력이 또래 나이의 아이들 보다 시간이 짧습니다.

 

복잡한 인지과제 부담감 현상 - 자신에게 복잡한 과제가 주어지면 의욕과 자신감이 떨어져 기피하는 현상이 있습니다.

 

문제 해결력 부족 현상 - 복잡한 인지과제 부담감에 주어진 문제의 해결을 위한 전략을 세우는데 어려움을 극복하려는 능력이 부족합니다.

 

 

정서적 특성

 

위축되는 현상 - 야단을 맞거나, 간단한 조언에서도 위축이 되고, 발표 같은 주목받는 자리에서 위축되는 모습을 자주 보이게 됩니다.

 

공격성이 강한 현상 - 충동성 행동을 자주 보이며, 공격성이 많이 노출됩니다.

 

우울증 현상 - 아동의 다수가 경험하는 현상으로 주변의 관심과 부정적 시각에 대한 우울감을 겪는 사례가 많습니다.

 

 

이런 현상들 중 다수가 자신의 아이에게 목격된다면, 전문기관에서의 테스트 역시 고려해봐야 할 문제라고 생각됩니다. 하지만 자신의 아이를 24시간 캐어하는 입장의 어머니라면 자신의 아이가 이런 상황인걸 100% 인정하고 싶지 않기에, 객관전 판단보다는 주관적 판단이 더 많이 개입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렇기에 경계성 지능장애라고 생각하고 전문기관에 방문하는 것보다는 자신의 아이의 현재 상태와 함께 아이의 올바른 성장을 위한 방문이라 생각하고 방문을 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이 밖에 대표적인 특징이 있습니다 그럼 특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통계적으로는 남성보다는 여성의 비율이 높습니다.
  • 이해력, 응용력, 기억력이 또래에 비해 다소 부족한 편입니다.
  • 학습 속도가 느려 언어나 표현이 다소 늦습니다.
  • 영유아에게도 발견되지만, 노인이나 치매환자도 비율이 높은 편입니다.

 

 

 

아이에게 어릴 때부터 강압적인 교육보다는 아이에게 안도감과 소속감을 주며, 편안하고 안정적인 생활을 통해 어린 시절부터 정체성과 자아형성에 좋은 영향을 주며 부모님들의 많은 관심과 소중함을 느끼게 해 주어서 아이의 성장에 좋은 영향력을 준다면 소중한 아이의 인격 형성과 사회성에 많은 도움을 줄듯 합니다. 아이를 키우는 입장에서 좀 더 아이의 생각을 이해하려고 노력하고 아이의 행동에 지적보다는 대화를 통한 습관을 고치는 것이 아이의 바른 성장에 도움이 되는 길이라 생각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