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를 하다 보면 구글 SEO란 말을 많이 듣게 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구글 SEO에 관한 포스팅을 해보겠습니다. 첫 번째는 메타 디스크립션(Description)입니다.
메타 디스크립션(Description)이란 무엇인가?
간단하면 말하면 본문의 첫 두문장에 내 포스팅의 제일 중요한 내용을 삽입하는 것입니다.
간혹 구글에서 필요한 정보에 대해서 검색을 하면 위에 사진처럼 검색 내용에 관한 내용이 검색해서 나온 블로그 밑에 작은 글씨로 쓰여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처럼 자신이 쓰는 글의 주요 내용을 첫 문단에 써줌으로써 구글 봇이 디스크립션을 보고 이 내용과 관련해서 알려주는 페이지라고 인식을 합니다.
구글 블로그는 검색 설명란이 있어서 거기에 글을 쓰면 디스크립션이라고 인식을 하지만 티스토리는 첫 문장에 150~160자 정도로 자신이 포스팅할 내용을 요약해서 쓰시면 알아서 디스크립션이라고 인식을 합니다.
구글 검색 엔진이 찾기 가장 좋은 글자 인식은 25자 이상~160자 이하로 잡고 있습니다. 최적의 길이는 150~160자로 설정해 주는 것이 좋습니다. 마지막 마무리할 때도 디스크립션을 한번 더 강조해 주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포스팅 본문의 처음과 끝에 넣어줌으로써 구글 검색 엔진에 내가 지금 이 포스팅에 무엇을 쓸지 무엇이 핵심 내용인지에 대한 내용을 확실히 인지 하게 해주는 것입니다.
티스토리에서는 첫 두줄을 쭉 이어서 쓰시면 그게 딱 알맞은 길이입니다.
간혹 여러 사람들이 실수하는 것 중에 하나는 첫 줄에 자신의 소개나 날씨 얘기, 자신의 하루 이야기 등 이런 이야기를 쓰시는 분들이 계십니다. 그렇게 글을 쓰시면 구글 검색 엔진에서는 그런 날씨나 자신의 소개글이 본문의 내용으로 인식을 해서 정보가 필요한 사람이 키워드를 검색하면 자신의 의도한 키워드가 노출이 안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구글 봇은 내가 주제로 쓴 키워드보다 내가 글의 첫마디에서 쓴 사적인 이야기를 내용으로 인식하기 때문입니다.
3줄 요약
포스팅할 때는 자신의 키워드에 맞는 디스크립션을 꼭 넣어준다.
포스팅 첫 두문장은 포스팅 본문의 내용을 함축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내용, 사람들이 검색하는, 또는 자신이 의도하는 키워드가 보일 수 있는 글로 써준다.
코멘트(COMMENT)
티스토리를 운영하게 되면 구글 상위 노출을 위해 많은 사람들이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 그 이유는 단편적으로는 네이버 검색 사이트에서 티스토리의 노출이 누락되어, 네이버에서의 노출이 힘든 점, 구글 검색 사이트의 점유율이 점점 높아지고 있는 점, 등이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이례적으로 네이버의 시장이 굳건해서 구글의 점유율이 적은 편이지만 전 세계적으로 봤을 때는 구글 사이트의 점유율이 90% 정도로 시장 자체의 크기가 비교가 안됩니다. 거기에 구글 상위 노출은 다음 상위 노출과는 비교를 할 수 없을 정도로 매우 오랜 시간 상단 노출이 됩니다. 한번 상위 노출된 구글에서의 내 포스팅은 좀처럼 잘 내려가지 않아서 수익면에서도 엄청난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구글 SEO 최적화는 티스토리에 있어서 이제는 기본 중에 기본이 됐습니다. 기본적인 SEO 최적화를 잘 알고 쓰게 된 글과 SEO에 관해 생각하지 않고 쓴 글은 그 글의 가치는 하늘과 땅 차이가 됩니다. 같은 내용이라도 SEO에 맞게 쓰는 방법만 알면 충분히 쓸 수 있습니다.
수익형 티스토리에 관한 다른 포스팅 보러 가기
수익형 티스토리를 위한 첫 번째, 줌, 구글, 네이버, 검색사이트 등록
'º 블로그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글 애드센스 1달만에 합격 애드센스 합격 어렵지 않아요 (2) | 2021.05.23 |
---|---|
구글 최적화 SEO에 맞는 이미지 만드는 방법 (1) | 2021.05.22 |
수익형 티스토리, 구글 유입에 위한 포스팅 4가지 (1) | 2021.05.19 |
티스토리 최적화 작업 간단하게 마무리 하기 (1) | 2021.05.04 |
애드센스 1차 결과 거절메일받았습니다. (0) | 2021.04.2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