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º 블로그 정보

티스토리 포스팅 초안 작성방법으로 쉽게 글쓰기

by 건헬케 2021. 6. 5.

포스팅을 하기에 앞서 메인 키워드를 생각했지만 어떻게 써야 될지 고민이신 분에게 제가 사용하는 방법 중 하나인 초안 작성방법을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초안을 만들어 놓고 글을 쓰면 글쓰기가 매우 편해지고 막힘 없이 글도 써지면서 글이 두서없이 순서 없이 써지는 것도 방지되고 좋습니다. 

 

서식 만들기

서식을 만들어서 생각해두거나, 정해놓은 메인키워드를 하나 적습니다.

 

메인 키워드

연관 키워드

검색 목적

제목

메타 설명

부제목

 

메인키워드

  • 2개 이상의 키워드로 조합된 롱테일 키워드가 적합합니다. 숏 테일 키워드는 경쟁력이 엄청나기 때문입니다.

 

연관 키워드 

  • 구글은 글을 이해하기 위해 알고리즘을 통해 이해합니다.
  • 연관 키워드도 메인 키워드와 같은 역활을 합니다. 
  • 메인키워드 구글 검색 시 밑에 뜨는 연관 검색어를 모두 적습니다.

 

검색 목적 

  • 사람들이 메인 키워드를 검색하는 목적을 이해하여야 합니다.

 

제 목 

  • 구글 검색 상위 노출을 참고하며, 롱테일 키워드로 제목을 정합니다.

 

메타 설명

  • 메타 디스크립션 부분에 나오는 글로 구글 검색 첫 번째 페이지 검색 결과에 나오는 내용보다 더 알찬 내용으로 포함해서 250자 이하로 적어줍니다.
  • 포스팅 첫 문단에 넣어주고, 포스팅 마지막에 메인 키워드를 다시 한번 넣어줍니다.

 

메타 디스크립션 구성 - APP인트 전략

 

A - Agree , P - Promise , P - Preview 

 

 

Agree - 첫 번째 문장에서는 타깃 메인 키워드 넣어준다. 이 글을 찾아온 사람의 마음에 동의한다는 느낌을 주는 문장으로 만들어 줍니다. 

 

Promise - 이글을 통해 독자가 얻을 수 있는 정보를 약속하는 문장으로 만듭니다.

 

Preview  - 주내용으로 넘어가기 전에 이글의 전체 내용을 간다 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문장으로 만듭니다. 

 

 

부 제목

  • 메인 키워드에 초점을 맞춘 세분화된 내용으로 부제목을 정합니다.
  • 부 제목으로 목차를 만들 수 있습니다.

 

 

티스토리 포스팅 초안 작성방법에 대해 포스팅해봤습니다. 이렇게 서식 안을 써 가며 글의 전체적인 틀을 잡고, 포스팅을 하면 아무래도 그냥 생각나는 대로 글을 쓰는 것보다는 글이 좀 더 체계적으로 보이고 가독성을 높여 주는 거 같습니다. 글을 쓰는 데 있어서 좋은 글은 학문적 지식과 전문적 용어로 된 글도 있지만, 깔끔하고 보기 좋게 정렬된 느낌을 주며 가독성을 올려주는 글도 좋은 글이라 생각합니다. 보기 좋은 글이 읽기도 좋은 글이라 생각합니다.   

댓글